開闢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님 (125.♡.227.81) 작성일22-05-19 18:47 조회1,930회 댓글0건본문
365 1/4일을 어디에 놓아야 됨인지(?) 한 고비 한 고비 넘기는 것이 쉽지 않음이며
재차 양해를 바리며
1월2일庚辰(선천 5/1)에서 1월16일甲午(선천 5/15일)까지 十五眞主度數이며 360일이 되며
1월16일甲午(선천 5/15일)에서 1월22일(선천 5/21일)까지 1時辰 80분인 366일로 놓고
다시 1월16일甲午(선천 5/15일)에서 5와1/4일을 더 가면 1월22일庚子일(선천5/21일)辰時가 1월16일甲午가 되는 격이니
(5와 1/4일은 금계반월의 날짜 맞춤과 함께 1時辰 80분인 366일로 전환시키면서 제 날짜를 찾기 위함)
1월16일甲午가 1월22일庚子일(선천5/21일)辰時로 옮겨져
戌辰丑未의 亥時가 돠니
日入酉配 亥子難分 (선천 辰巳時)
日出寅卯辰 事不知 (선천 未申酉時)
日正巳午未 開明 (선천 戌亥子時)이며
日中爲市交易退 帝出震이니
未時가 1월23일子時(선천5/22일)가 되어 正易의 亥時로 後天의 門을 열고(1월23일辰時가 子時가 되니 날짜상으로는 1월22일子時가 됨)
日中爲市交易退 帝出震이니 金火交易으로 彌勒佛出世가 됨이니
15일차인 1월16일甲午일에서 개벽으로 13時辰차인 1월17일丑時로 옮겨야 되나
15일차인 1월16일甲午가 1월23일(선천5/22일)로 옮겨 개벽으로 16일차이며 18일치인 1월26일甲辰(선천5/25일)으로 옮겨 子時(선천의丑時)로 오시는 격이나
1월23일辰時가 子時가 됨이니 날짜상으로는 1월22일子時가 되어
실질적인 날짜는 1월22일庚子(선천5/22일)가 1월25일癸卯(선천5/25일)로 옮겨진 격이 되며
1월25일癸卯(선천5/24)일은
360일이며 366일인 1월16일甲午일이 되며 1월1일己卯일이 되며
(366일로 잡은 1월22일이 1월25일로 옮긴 격임)
또한 辰時이후로는 1월26일甲辰(선천5/25일)이 되니 1월2일庚辰이 되는 격임 (날짜를 옮기는 격이 되어 度數도 같이 옮기는 격이 됨)
☆ ☆ 1월22일庚子(선천5/21)일과 다음날인 1월23일辛丑일은
出世庚子奉天文 (1월22일庚子일)
辛丑二七人道通 (1월23일辛丑일)이며
壬寅相逢金上人 布德於世盟誓約
辛未生 辛丑年道通 壬戌生 壬寅年相逢 으로
辛未生(二七人 ,甑山) 辛丑年道通 이며
壬戌生인 金亨烈(坤)을 壬寅年相逢 하여
布德於世盟誓約을 함이니
陽1월23일辛丑일은 陽7월7일로 7월7夕 三五夜가 되며 三人一夕 으로 三人同行七十里이며
冬至寒食百五除하여 五老峰前二十一을 하면
陽1월16일甲午이며 陽6월30일(선천1/15)이 되니
陽1월23일辛丑(선천 5/22)이 1월16일甲午가 되는 격이며 7월7夕에 三人一夕이 되며 二七人( 甑山) 道通이며
다음날인 壬寅에 壬戌生(坤)을 만남으로
神人合發을 의미하나
子時의 이동으로 巳午未開明 度數로는
1월24일壬寅일辰時까지는 1월23일辛丑일이 되므로
1월24일壬寅(선천 5/23)일 辰時이전에
人神合德과 辛未生 辛丑年道通이 함께
이루어질 것이며
7월7夕 三五夜가 되니 1월23일辛丑(선천 5/22)일이 3월5일이 되면 3일(一精)後인 1월26일甲辰(선천 5/25)일이 彌勒佛 出世일이 되며
1월16일甲午(선천5/15)일이 陽6월30일의 159일로 15數를 除한 坤策數 144일에 乾策數 216일과 合하여 360일 되었으니375일로
1월25일癸卯일은 384일이 되니
(1월26일甲辰의 辰時까지 癸卯일이 됨)
개벽기간을 선천5/22일 (5/22일~5/25일은 金火交易으로 一分間의 일이므로 1일로 잡음)
~ 5/27일까지로 놓음
(환궁과 동시에 神人合發과 개벽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하여
巳午未開明 度數가 1일의 착오가 생김)
《'8월 초하루에 환궁하리라 ' 하셨으니
1월7일乙酉일이 陰8월1일乙丑일이니(선천 5/6일)
眞主度數 15일을 除하면
1월2일庚辰이 1월17일로 옮겨 1월22일(선천5/21일)이 陰8월1일乙丑일이 되는 격이나
환궁(還宮)이라 하셨으니 81宮을 의미하면 1월23일辰時이전까지는 1월22일이 되며 날짜상으로는 1월23일로 81宮이 시작되니
즉 1월23일子時부터 81宮의 시작이 되나
날짜로는 1월22일이 되는 격임 》
선천 5/11~5/22일 개벽 前까지를 北에서의 이레동안의 병겁기간으로 놓으며(366일로 날짜변경이 됨)
정확한 개벽시간은 알 수없음
《경복궁 (彌勒佛出世일인 81宮)앞에 벽력표(霹靂表)를 묻으신 뒤에
“모두 흩어져 돌아가라. 10년 뒤에 다시 만나리라. 10년도 10년이요, 20년도 10년이요, 30년도 10년이니라.” 하시거늘
“40년도 10년이야 되지만 넘지는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여기서 10年을 10日로 놓으면 두 번째 佛成인 彌勒佛出世일인 선천 4/16일인 2월9일丁巳일(一精포함 1월12일庚申)부터 36일차로 1월26일甲辰 (선천 5/25일)일이 되며
1월23일辛丑 (선천5/22일)은 33天이 됨
己未之十月과 함께 十은 無極으로 彌勒佛과 함께 함을 뜻하며
두 번째 佛成인 彌勒佛出世일은 처음의 佛成인 彌勒佛誕生일과 63合으로 合하여 날짜상으로는 같은 날이 됨>
《“이 공사는 수부(坤)에게 후비임직(后妃任職)을 정하는 공사니라.” 하시고
<將相 方伯 守令 蒼生 后妃所 點考>
大時太祖 出世 帝王(彌勒佛) < 將相 方伯 守令 蒼生點考 后妃所>
대시태조 출세 제왕 장상 방백 수령 창생점고 후비소》
嗚呼(오호) 書豈易言哉(서기이언재)
<아! 서경을 어찌 쉽게 말할 수 있으리오.>
二帝三王 (이제삼왕 - 堯舜禹湯文武周公, 彌勒佛을 의미함)
治天下之大經大法 (치천하지대경대법 ) 皆載此書 (개재차서 )
<이제삼왕 (彌勒佛)의 천하를 다스리는 큰 경륜과 법이 이 책에 다 실렸으되>
而淺見薄識 ( 이천견박식) 豈足以盡發蘊奧(기족이진발온오)
<나의 얕은 식견과 학식으로 어찌 족히 그 심오한 이치를 다 드러낼 것인가.>
且生於數千載之下 (차생어수천재지하) 하여
<더구나 수천 년 뒤에 태어나>
而慾講明於數千載之前(이욕강명어수천재지전 )하니 亦已難矣 (역이난의) 라
<수천 년 전의 것을 밝히려 하니 또한 심히 어려운 일이로다.>
然 (연) 二帝三王之治 (이제삼왕지치) 本於道 (본어도) 二帝三王之道 本於心
<그러나 이제삼왕의 다스림은 도에서 비롯하고
이제삼왕의 도는 마음에 근본을 둔 것이니>
得其心(득기심) 則道與治 (즉도여치)
固可得而言矣(고가득이언의)
<바로 그 마음을 얻으면 도와 다스림을 진실로 얻었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車京石(81宮의 巽인 法輪으로 坤)과
석성(石城 - 巽의城이니 有巢文)
이치화(李致和) 이치복(李致福 - 彌勒佛로부터 禍와 福이 미침이니 西神司命의 生死判斷임) 에게
書傳序文을 萬讀하게 하신 이유임》
재차 양해를 바리며
1월2일庚辰(선천 5/1)에서 1월16일甲午(선천 5/15일)까지 十五眞主度數이며 360일이 되며
1월16일甲午(선천 5/15일)에서 1월22일(선천 5/21일)까지 1時辰 80분인 366일로 놓고
다시 1월16일甲午(선천 5/15일)에서 5와1/4일을 더 가면 1월22일庚子일(선천5/21일)辰時가 1월16일甲午가 되는 격이니
(5와 1/4일은 금계반월의 날짜 맞춤과 함께 1時辰 80분인 366일로 전환시키면서 제 날짜를 찾기 위함)
1월16일甲午가 1월22일庚子일(선천5/21일)辰時로 옮겨져
戌辰丑未의 亥時가 돠니
日入酉配 亥子難分 (선천 辰巳時)
日出寅卯辰 事不知 (선천 未申酉時)
日正巳午未 開明 (선천 戌亥子時)이며
日中爲市交易退 帝出震이니
未時가 1월23일子時(선천5/22일)가 되어 正易의 亥時로 後天의 門을 열고(1월23일辰時가 子時가 되니 날짜상으로는 1월22일子時가 됨)
日中爲市交易退 帝出震이니 金火交易으로 彌勒佛出世가 됨이니
15일차인 1월16일甲午일에서 개벽으로 13時辰차인 1월17일丑時로 옮겨야 되나
15일차인 1월16일甲午가 1월23일(선천5/22일)로 옮겨 개벽으로 16일차이며 18일치인 1월26일甲辰(선천5/25일)으로 옮겨 子時(선천의丑時)로 오시는 격이나
1월23일辰時가 子時가 됨이니 날짜상으로는 1월22일子時가 되어
실질적인 날짜는 1월22일庚子(선천5/22일)가 1월25일癸卯(선천5/25일)로 옮겨진 격이 되며
1월25일癸卯(선천5/24)일은
360일이며 366일인 1월16일甲午일이 되며 1월1일己卯일이 되며
(366일로 잡은 1월22일이 1월25일로 옮긴 격임)
또한 辰時이후로는 1월26일甲辰(선천5/25일)이 되니 1월2일庚辰이 되는 격임 (날짜를 옮기는 격이 되어 度數도 같이 옮기는 격이 됨)
☆ ☆ 1월22일庚子(선천5/21)일과 다음날인 1월23일辛丑일은
出世庚子奉天文 (1월22일庚子일)
辛丑二七人道通 (1월23일辛丑일)이며
壬寅相逢金上人 布德於世盟誓約
辛未生 辛丑年道通 壬戌生 壬寅年相逢 으로
辛未生(二七人 ,甑山) 辛丑年道通 이며
壬戌生인 金亨烈(坤)을 壬寅年相逢 하여
布德於世盟誓約을 함이니
陽1월23일辛丑일은 陽7월7일로 7월7夕 三五夜가 되며 三人一夕 으로 三人同行七十里이며
冬至寒食百五除하여 五老峰前二十一을 하면
陽1월16일甲午이며 陽6월30일(선천1/15)이 되니
陽1월23일辛丑(선천 5/22)이 1월16일甲午가 되는 격이며 7월7夕에 三人一夕이 되며 二七人( 甑山) 道通이며
다음날인 壬寅에 壬戌生(坤)을 만남으로
神人合發을 의미하나
子時의 이동으로 巳午未開明 度數로는
1월24일壬寅일辰時까지는 1월23일辛丑일이 되므로
1월24일壬寅(선천 5/23)일 辰時이전에
人神合德과 辛未生 辛丑年道通이 함께
이루어질 것이며
7월7夕 三五夜가 되니 1월23일辛丑(선천 5/22)일이 3월5일이 되면 3일(一精)後인 1월26일甲辰(선천 5/25)일이 彌勒佛 出世일이 되며
1월16일甲午(선천5/15)일이 陽6월30일의 159일로 15數를 除한 坤策數 144일에 乾策數 216일과 合하여 360일 되었으니375일로
1월25일癸卯일은 384일이 되니
(1월26일甲辰의 辰時까지 癸卯일이 됨)
개벽기간을 선천5/22일 (5/22일~5/25일은 金火交易으로 一分間의 일이므로 1일로 잡음)
~ 5/27일까지로 놓음
(환궁과 동시에 神人合發과 개벽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하여
巳午未開明 度數가 1일의 착오가 생김)
《'8월 초하루에 환궁하리라 ' 하셨으니
1월7일乙酉일이 陰8월1일乙丑일이니(선천 5/6일)
眞主度數 15일을 除하면
1월2일庚辰이 1월17일로 옮겨 1월22일(선천5/21일)이 陰8월1일乙丑일이 되는 격이나
환궁(還宮)이라 하셨으니 81宮을 의미하면 1월23일辰時이전까지는 1월22일이 되며 날짜상으로는 1월23일로 81宮이 시작되니
즉 1월23일子時부터 81宮의 시작이 되나
날짜로는 1월22일이 되는 격임 》
선천 5/11~5/22일 개벽 前까지를 北에서의 이레동안의 병겁기간으로 놓으며(366일로 날짜변경이 됨)
정확한 개벽시간은 알 수없음
《경복궁 (彌勒佛出世일인 81宮)앞에 벽력표(霹靂表)를 묻으신 뒤에
“모두 흩어져 돌아가라. 10년 뒤에 다시 만나리라. 10년도 10년이요, 20년도 10년이요, 30년도 10년이니라.” 하시거늘
“40년도 10년이야 되지만 넘지는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여기서 10年을 10日로 놓으면 두 번째 佛成인 彌勒佛出世일인 선천 4/16일인 2월9일丁巳일(一精포함 1월12일庚申)부터 36일차로 1월26일甲辰 (선천 5/25일)일이 되며
1월23일辛丑 (선천5/22일)은 33天이 됨
己未之十月과 함께 十은 無極으로 彌勒佛과 함께 함을 뜻하며
두 번째 佛成인 彌勒佛出世일은 처음의 佛成인 彌勒佛誕生일과 63合으로 合하여 날짜상으로는 같은 날이 됨>
《“이 공사는 수부(坤)에게 후비임직(后妃任職)을 정하는 공사니라.” 하시고
<將相 方伯 守令 蒼生 后妃所 點考>
大時太祖 出世 帝王(彌勒佛) < 將相 方伯 守令 蒼生點考 后妃所>
대시태조 출세 제왕 장상 방백 수령 창생점고 후비소》
嗚呼(오호) 書豈易言哉(서기이언재)
<아! 서경을 어찌 쉽게 말할 수 있으리오.>
二帝三王 (이제삼왕 - 堯舜禹湯文武周公, 彌勒佛을 의미함)
治天下之大經大法 (치천하지대경대법 ) 皆載此書 (개재차서 )
<이제삼왕 (彌勒佛)의 천하를 다스리는 큰 경륜과 법이 이 책에 다 실렸으되>
而淺見薄識 ( 이천견박식) 豈足以盡發蘊奧(기족이진발온오)
<나의 얕은 식견과 학식으로 어찌 족히 그 심오한 이치를 다 드러낼 것인가.>
且生於數千載之下 (차생어수천재지하) 하여
<더구나 수천 년 뒤에 태어나>
而慾講明於數千載之前(이욕강명어수천재지전 )하니 亦已難矣 (역이난의) 라
<수천 년 전의 것을 밝히려 하니 또한 심히 어려운 일이로다.>
然 (연) 二帝三王之治 (이제삼왕지치) 本於道 (본어도) 二帝三王之道 本於心
<그러나 이제삼왕의 다스림은 도에서 비롯하고
이제삼왕의 도는 마음에 근본을 둔 것이니>
得其心(득기심) 則道與治 (즉도여치)
固可得而言矣(고가득이언의)
<바로 그 마음을 얻으면 도와 다스림을 진실로 얻었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車京石(81宮의 巽인 法輪으로 坤)과
석성(石城 - 巽의城이니 有巢文)
이치화(李致和) 이치복(李致福 - 彌勒佛로부터 禍와 福이 미침이니 西神司命의 生死判斷임) 에게
書傳序文을 萬讀하게 하신 이유임》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